인프라/윈도우서버24 [WINDOWS] 장치관리자 디스크 드라이브가 무슨 드라이브인지 구분하는 방법 서버에 하드디스크가 여러개가 있는상태에서 각 하드디스크가 무슨 드라이브인지 알 필요가 있다. 구분하는 법은 다음과 같다. 컴퓨터관리 > 장치관리자 > 디스크 드라이브 > 원하는 디스크드라이브 우클릭 후 속성 클릭 볼륨탭 클릭 > 정보표시 볼륨 탭을 클릭하면 아무 정보가 나오지 않는데, 여기서 정보표시버튼을 클릭하면 어떤 드라이브인지 조회가 가능하다. 2023. 8. 25. 윈도우 mysql my.ini 위치 리눅스는 /etc/my.cnf에서 찾으면 되지만 윈도우에 설치된 mysql 설정파일은 어디서 찾는단 말인가 답은 서비스 도구에 있다. 윈도우 mysql 설정파일은 my.ini 이다. 2022. 11. 28. [WINDOWS] WINDOWS QOS 설정 파일 업로드/다운로드시 발생하는 트래픽이 자칫 같은 대역에 부하를 줄수 있으니 QOS 설정이 필요한데 윈도우 서버에서 가능함 내가 운영하는 있는 환경에서는 로컬그룹 정책 편집기(gpedit.msc)로 QOS를 설정했음에도 제대로 적용되지 않았다. powershell을 통한 설정을 추천한다. 설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 QOS 정책생성 , TCP 80 프로토콜 트래픽 85메가로 제한 New-NetQosPolicy -Name "QOStest" -IPPort 80 -IPProtocol TCP -ThrottleRateActionBitsPerSecond 85MB ## QOS 정책확인 get-NetQosPolicy ## QOS 정책삭제 Remove-NetQosPolicy QOStest 윈도우 QOS 설정 wind.. 2022. 9. 7. [windows] 윈도우서버 서비스 포트 프로세스 찾기 netstat -an으로 현재 리스닝 중인 포트를 확인 할 수 있지만 리스닝하는 포트가 어떤 어플리케이션(프로세스)인지는 알수 없다. 프로세스가 어떤 포트인지 확인하기위해서는 실행 > resmon.exe 리소스 모니터를 통해 알 수있다. 리소스모니터 > 네트워크탭 > TCP연결 프로세스 서비스포트 확인 어플리케이션 포트 확인 프로세스 포트 확인 2022. 8. 24. [Windows] gcp windows server 2019 한글 언어팩 설치 gcp windows server 2019 한글 언어팩 설치 방법 시작버튼 > settings 클릭 Time & Language 클릭 Language 탭 클릭 Add language 클릭 korean 검색후 한국어 검색결과 나오면 더블클릭 체크해제 모두한다.(스샷은 실수로 체크해제를 안한체로 스샷뜸) 한국어가 위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고 options 클릭 Basic typing 클릭 완료되면 로그아웃 후 다시 접속해야한다(중요!) erorrcode 0x80070422가 뜨면 윈도우 업데이트 서비스가 활성화가 안되었다는 뜻이다. 활성화 시켜주면 된다. service도구 > windoes update > automatic 선택 > start 로그아웃후 다시 한국어 > 언어옵션에 가보면 언어팩 다운로드 창이.. 2022. 8. 3.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